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우라지

정선군 여량면 여량리 아우라지 역 뒷편에 있으며 예부터 강과 산이 수려하고 평창군

 도암면에서 흐르고 있는 구절쪽의 송천과 삼척군 하장면에서  흐르고 있는 임계쪽의

골지천이 합류되어두강이 만나 함께 "어우러진다" 하여 아우라지라고 한다고 합니다.

 

많은세월 임무를 다한 퇴역한 아우라지호가 입구에 전시되어 있습니다.

  남한강 1천리길 물길따라 목재를 운반하던  뗏목 시발지점으로 뗏꾼들의 아라리 소리가 끊이지 않던 곳이다.

정선 아우라지 노래비.

아우라지의  유래를 설명한 안내판.

매일 무료로 운행이 되는 아우라지 도강배가 태풍으로 모래가 강바닥에 차올라 운행을 못하고 있다.

새로 만든 다리가 강을 건너게 하며 그 위용을 뽑냅니다.

상대적으로 나룻배가 더 외로워 보입니다.

남녀간의 애절한 사랑을 이룰려고 만든 섶다리가 비만 오면 넘습니다.

뗏목과 행상을 위하여 객지로 떠난 님을 애달프게 기다리는 마음과 장마로 인하여 강물을 사이에 두고

사랑을 이루지 못하는 애절한  마음을 적어 읊은 것이 지금의 정선아리랑 가사로 널리 불리워지고 있다.

구전 되어오는 아우라지 강변에 얽힌 처녀총각의 애절 한 이야기를 전하기 위하여

여송정을 세우고 강물을 바라보며 떠난 님을 애절하게 기다리는 듯한 처녀상을 볼 수 있다.

 송천과 골지천이 합류되어두강이 만나 어울리는 곳입니다.